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중앙 칼럼] 미국의 반도체 굴기

2월21일 캘리포니아 새너제이 컨벤션센터에서는 ‘인텔 파운드리 서비스 다이렉트 커넥트’ 행사가 열렸다.     “우리는 미국에서 더 많은 반도체를 생산해야 합니다. 우리는 실리콘을 다시 실리콘밸리로 가져와야 합니다. 우리 세대가 이 과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화상으로 행사에 참석한 지나 러몬드 상무부 장관이 한 말이다. ‘반도체 자국 우선주의’를 공개적으로 분명히 밝힌 것이다.   팻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현재 전 세계 반도체의 80%를 아시아에서 만들고 있다. 반도체 생산은 특정한 지역이나 국가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10년 내 미국과 유럽이 세계 반도체의 50%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겔싱어가 우려한 건 대만의 지정학적 위험이었다. 겔싱어는 “중국이 (2022년) 대만해협에서 군사훈련을 한 것을 기억해보라. 이는 세계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 나는 대만을 좋아하지만 (공급망 관점에서는) 매우 취약한 구조”라고 말했다.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이 대만을 방문한 직후인 2022년 8월4일~7일 중국은 대만 주변 해역을 완전히 봉쇄하는 군사훈련을 했다. 실탄 사격훈련과 함께 둥펑 미사일 11발까지 발사했다. 이 사건 이후 미국에서는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면 TSMC 반도체 생산공장을 파괴해야 하느냐는 문제를 놓고 심각한 논의가 있었다.   겔싱어는 중국이 대만을 흡수할 수도 있기 때문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세계 1위 업체인 대만의 TSMC에 의존하는 반도체 공급망이 위험하다고 말한 것이다. 이런 우려에 대응해 TSMC가 선택한 건 일본에 반도체 생산공장을 짓는 것이었다. TSMC는 2월24일 일본 구마모토현에 제1공장을 완공했고, 인근에 제2공장도 2027년 완공한다. TSMC가 일본을 선택한 것은 반도체 부활을 꿈꾸는 일본 정부가 파격적인 보조금을 신속하게 지급했고 인력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러몬드 장관은 “우리가 모든 종류의 반도체를 만들려는 건 아니지만 인공지능(AI)에 필수적인 최첨단 칩은 직접 생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러몬드 장관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픈AI 등 미국의 거물급 테크 기업 CEO들은 인텔의 파운드리 지원에 나섰다. 사전 녹화된 영상을 통해 등장한 사티아 나델라 MS CEO는 “MS는 미국에서 강력한 반도체 공급망을 구축하겠다는 인텔의 노력을 돕겠다”며 “MS는 인텔의 1.8나노급 공정으로 반도체를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텔이 MS를 1나노급 공정 고객사로 확보한 것을 확인해준 것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종류의 반도체를 맡길지 밝히지 않았지만, 첨단 공정을 활용하는 만큼 AI반도체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인텔은 올해 1.8나노급 공정에서 고객사와 설계, 제조를 시작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인텔 파운드리의 수주 금액은 MS를 포함해 150억 달러에 달한다. 파운드리 사업에서는 고객 확보가 관건인데, 인텔이 TSMC와 삼성전자보다 앞서 AI 분야 선두를 달리는 MS의 손을 잡은 것이다. 겔싱어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 젠슨(젠슨 황 엔비디아 CEO), 크리스티아노(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CEO), 선다(선다 피차이 구글 CEO), 리사(리사 수 AMD CEO)도 우리 고객사에 포함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미국 정부는 인텔에 총 100억 달러에 상당하는 지원금을 지급할 전망이다. 미국 정부와 기업들이 한 팀이 돼 인텔의 파운드리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인텔의 참전에 파운드리 시장의 지각변동은 피할 수 없게 됐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현재 세계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TSMC(57.9%)와 삼성전자(12.4%), 미국의 글로벌파운드리스(6.2%), 대만의 UMC(6%), 중국의 SMIC(5.4%) 등이다.     “미국과 유럽이 세계 반도체의 50%를 생산하도록 하겠다”는 겔싱어의 말은 인텔이 아시아 생산 물량의 30%를 빼앗겠다는 뜻이다. TSMC와 기술격차를 극복하지 못한다면 삼성전자 물량을 가장 먼저 빼앗아갈 가능성이 크다. 인텔의 부상은 한국에는 큰 위협이다. 이무영 / 뉴미디어 국장중앙 칼럼 미국 반도체 반도체 생산공장 반도체 위탁생산 세계 반도체

2024-03-10

[J네트워크] “마지막 기회다” 일본의 반도체 절치부심

실패를 경험해 본 적이 있나. 무언가에 도전했다가 재도전했던 기억은. 지금 일본은 한번 겪었던 실패를 곱씹고 또 곱씹는 중이다. 그 실패는 다름 아닌 반도체. 잃어버린 일본의 30년은 단순히 저성장의 긴 터널만은 아니었다. 한때 세계 시장을 이끌었던 일본의 반도체 역시 몰락의 늪에서 빠져나올 수 없던 암흑기이기도 했다.   먼저 했던 실패 하나. 지난 2000년 3월 일본 히타치는 대만 회사와 함께 트레센티테크놀로지스를 세웠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산업을 위한 도전장이었다. 당시 이사를 지낸 인물이 올해 71세인 고이케 아쓰요시(小池淳義). 라틴어로 300을 뜻하는 단어에서 차용해 회사 이름을 ‘트레센티’로 지은 사람이 그다. 반도체 원판에 해당하는 직경 300㎜의 웨이퍼를 상징하도록 이름을 만든 것이다. 정부의 전폭 지원을 받으며 일본 회사 11곳이 뭉쳐 반도체를 설계하고 제조한다는 꿈을 키웠지만 트레센티는 실패했다.   그리고 지금. 고이케는 지난해 설립한 라피더스 사장으로 다시 등장했다. AI(인공지능) 시대를 겨냥해 소니와 도요타 등 일본 대표기업 8곳이 지난해 뭉쳐 세운 반도체 회사 말이다. 재밌는 건 라틴어로 ‘빠르다’는 의미의 라피더스란 회사 이름을 지은 것도 바로 고이케다. 사실상 ‘국책 파운더리 회사’인 라피더스는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최근 『반도체 입국 일본의 역습』을 내놓은 구보타 류노스케는 이렇게 지적했다. “경제산업성이 주도한 과거 반도체 전략 실패 원인을 찾아 반복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황금기를 되찾자는 바람이 통했던 걸까. 공교롭게도 같은 달 일본 경제산업성이 내놓은 반도체 디지털 산업전략 보고서에선 비장함이 묻어났다. 무려 200쪽이 넘는 보고서, 그 앞머리에 등장한 단어들은 이랬다. ‘국가 존망이 걸린 문제. 최후의 기회. 이런 흐름에서 살아남는 것은 사활의 문제.’ 이번엔 정말 성공하고 말겠다는 결기마저 느껴진다. 이런 일본을 바라보는 국내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달라진 일본의 태도를 이렇게 표현했다. “과거 실패를 철저히 반성하고 진심으로 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주 반도체 핵심 소재 회사이자 세계 1위 회사(JSR)를 정부계 펀드를 통해 사들였다. 그리고 일본은 미국에 이어 3일 유럽연합(EU)과도 반도체 연계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도 맺었다. 이구동성 “마지막 기회”라며 전력투구 중인 일본을 보며 “우리 정부는 뭘 하고 있나”라는 생각이 떠나지 않는 건 노파심 때문일까. 김현예 / 도쿄 특파원J네트워크 일본 절치부심 반도체 절치부심 반도체 회사 반도체 위탁생산

2023-07-0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